화장실 셀프 리모델링 3 Patching and Priming Walls for Bathroom Renovation

2023. 3. 20. 11:57DIY projects

반응형

현재 화장실 천장을 끝내고는 벽 작업을 진행 중이다.

 

After finishing the ceiling I began working on the bathroom wall.

 

2023.03.01 - [미국 일상] - 화장실 셀프 리모델링 1 How to Fix Bathroom Ceiling Paint Peeling and Cracking

 

화장실 셀프 리모델링 1 How to Fix Bathroom Ceiling Paint Peeling and Cracking

부엌 리모델링이 끝나고 화장실 리모델링에 돌입했다. I started working on the bathroom after my kitchen remodeling. 우리집은 1층에 샤워가 달린 화장실이 있고, 2층에 변기와 세면대만 있는 화장실이 있다.

akoreaninamerica.tistory.com

사진에 보이는 변기, 타올바, 휴지걸이, 조명등도 모두 뜯어냈다.

 

I took out the toilet, towel bar, toilet paper hanger and light fixture in the picture. 

 

DIY bathroom renovation

싱크대 쪽도 조명등, 메디슨 캐비넷, 싱크대 전체, 그리고 싱크대를 둘러싸고 있는 비드보드까지 다 뜯어냈다.

For the sink side, I took out the light fixture, medicine cabinet, the whole vanity with the top and bead board around the vanity on the wall.

 

shartbite shutoff valve

근데 싱크대를 분리할 때 수돗물을 잠그는 과정에서 물이 새길래, 밸브의 상태가 좋지 않음을 직감했다. 그래서 샤크 바이트 밸브로 말끔하게 교체부터 해주었다. 

 

While disconnecting the vanity top, I found a leaking problem with the shut-off valves. So I had to replace them with the sharkbite ones. 

 

DIY-bathroom-renovation

어쨌든 화장실의 다른 공간들은 비드보드를 그대로 남겨둔 상태지만 싱크대 쪽은 깔끔한 벽에다가 싱크대 뒤에만 백스플래쉬 타일을 붙일 예정이라, 비드보드들을 떼야했다. 

 

I took down the bead boards to install backsplash tiles but left them for the other side of the bathroom.

 

근데 비드보드를 떼고나니 사진과 같이 글루 자국들이 선명하게 남아있었다.

drywall 패치 작업 전에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페인터 툴로 글루들을 다 긁어냈다.

 

There was some glue residue after taking out the bead board. 

I had to scrape it off with the painter's tool because the surface should be clean before the drywall patching process.

 

medicine cabinet opening size adjustment

새로 구입한 메디슨 캐비넷은 기존의 것보다 사이즈가 작았다. 그래서 구멍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sheetrock을 붙여줬다. 나중에 조명등과 메디슨 캐비넷 사이의 공간이 너무 심심해보이면 데코용으로 뭐라도 붙일 계획이다.

 

The medicine cabinet I just bought was smaller than the old one. So I had to attach a piece of sheetrock to adjust the opening size. The space between the light fixture and medicine cabinet might be awkward later but I can hang a cute bathroom sign there.

 

어쨌든, 이렇게 패치 준비 작업이 완료되고 지옥의 패치 단계로 들어섰다.

왜 지옥이냐? 무한 반복이기 때문이다....

프로들은 코팅 몇번이면 충분할지 모르겠지만 나같은 아마추어들은 몇번만에 해결하려고 하기보다 얇게 여러번 바르는 것이 안전하기 때문에 정말 여러번 하게 된다. 특히 벽이 정말 균일하지 않을 때에는 더욱이...

 

Anyway, after all this preparation, I could start the patching hell.

Why is it hell? Becasue it's an endless process. 

Pros might be able to finish patching the drywall with only a few coats, but an amateur like myself needs more than a few coats, because it's safer to do more thin layer coats patiently than try to finish within a few coats.

 

일단 비드보드 안의 sheetrock은 전혀 테이핑이 되지 않은 상태였기에 코너쪽과 sheetrock 연결부분의 테이핑 작업부터 했다.

 

I started off by taping where the corners and the sheetrock meets because it was just raw sheetrock behind the bead board.

 

DIY bathroom renovation

테이핑과 동시에 글루를 떼면서 좀 파여진 부분도 패치하고, 구멍이 난 부분, 아웃렛 주위가 너무 벌어진 곳도 패치했다.

 

At the same time as the taping, I also patched some imperfect areas.

 

medicine-cabinet-opening-size-adjusting

메디슨 캐비넷 구멍도 마찬가지로 연결부분에 테이핑 작업부터 했다.

여기까지가 1차 코팅...

 

I also had to tape around the new sheetrock for the medicine cabinet opening.

All these patches was the first coat.

 

1차 코팅이 마르고나면, 부드럽게 샌딩 후에 2차 코팅에 돌입하면 된다.

 

After this first coat was dry, I sanded down the wall and started the second coat. 

 

how-to-adjust-medicine-cabinet-opening-size

테이핑부분은 다시 덧발라 주고, 평평하지 않은 곳을 다시 메꾸어주면 2차 코팅 끝이다.

이 2차 코팅이 마르면 또 샌딩 후에, 눈으로도 확인하고 손으로도 확인해준다.

테이핑이 아직 보이는 부분이 있는지, 손으로 만져봤을 때 울퉁불퉁한 부분이 있는지...

당연히 있다;;;

그러면 그 부분들을 보완하기 위해 또 3차 코팅을 시작하면 된다.

 

For the second coat, I reapplied where I taped and added where it wasn't smooth. 

After this coat was dry, I sanded again and checked the wall with my eyes and hands if I could still see the tape through and if the wall is smooth enough.

Of course, I still had to fix them. That's when I started the 3rd coat.

 

이때는 파이프 주위에 구멍이 너무 큰 것 같아 테이핑과 함께 패치 해주었다.

이렇게 3차 코팅 완료....

제발 3차 코팅으로 마무리할 수 있길 바라면서 마를 때까지 기다려보았다.

 

I finished my 3rd coat patching around the pipes.

I waited until the joint compound was dry hoping the 3rd coat might have been the last one.

 

3차 코팅이 마른 후, 샌딩까지 해보았는데 겉보기엔 괜찮아보여도 여전히 부족했다.

그리하여 4차 코팅 돌입했다.

다행히도 코팅 수가 높아질 수록 패칭 범위는 작아진다... 그러면서 마는 시간도 빨라지다보니 수정이 필요하면 하루안에 여러번 작업이 가능해진다. 

 

After everything was completely dry, I sanded again. It looked ok but still needed some touch-ups.

So I started the 4th coat. 

The good thing is that the more coats you do, the smaller the area you have to work on gets. That means the drying time gets faster and you can touch up more times a day.

 

그렇게 내 기억으로는 5차 코팅까지 한 것 같다.

drywall 작업은 정말 인내심이 필요한 작업이다.

 

I think I could finish with a 5th coat.

Indeed, you need great patience during the drywall patching process.

 

드디어 완성된 패치 작업... ㅠㅠㅠ

 

These are the final results.

 

다른 벽에도 하드웨어를 떼고 난 뒤의 구멍을 메워줬다.

 

I patched some small holes after taking off hardware for the other side of the bathroom too.

 

이렇게 패칭 작업이 끝나고나면 프라임을 바를 수 있다.

지난번 천장 작업과 마찬가지로, 패칭을 한 부분에 부분 프라임을 먼저 했다.

 

Finally, I could prime the wall.

Like the ceiling process last time, I started priming partially where I patched with drywall joint compound.

 

kilz-kitchen-bath-prime

패치한 곳에 롤러로 바로 프라임을 바르면 나는 이상하게 자꾸 벗겨지는 현상을 경험했기에 무조건 브러쉬로 얇게 펴바르는 작업을 먼저 한다.

범위가 아무리 넓어도 부분 프라임은 무조건 브러쉬로 한다. 손가락과 손목이 꽤 아프지만 어쩔 수 없다...

 

I always do the partial priming with a brush first after experiencing the joint compound peeling off when I primed with a roller. Even if the area is big, I always prime with a brush first. I know.... it's killing my wrist and fingers but I can't help it....

 

부분 프라임이 끝난 모습이다. 부분 프라임만 했지만 제법 벽의 모습을 갖추는 것 같다.

 

This is after the partial priming. it finally look like a normal wall.

 

kilz prime

부분 프라임이 끝난 후, 화장실 전체를 프라임 작업했다.

천장을 제외한 창문 틀, 문 틀, 기존에 설치된 비드보드와 몰딩들, 전체 벽 모두 말이다.

 

After the partial priming, I primed the whole bathroom.

It was literally the whole bathroom except the ceiling, which consisted of the window frame, door frame, bead board, moldings, and the whole wall.

 

비드보드와 창문 틀, 문 틀, 몰딩들 전부 같은 하얀색을 유지할 계획이었지만, 새로 페인트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모두 프라임을 바른 것이다. 

 

Even though I planned to keep the white color of the bead board, window frame, door frame, molding, I primed them because I wanted everything freshly painted.

 

1차 코팅이 마른 후, 프라임 2차 코팅을 했다.

 

After the first coat, I primed  a second coat.

 

프라임 2차 코팅까지 완성!

 

The second coat of primimg is complete!!

 

Before & After
Before & After

이렇게 패칭 작업 및 프라임까지 끝을 내었다.

다음은 caulking 및 페인트 작업인데, 페인트는 크라운 몰딩, 창문 틀, 문 틀, 비드보드, 몰딩, 베이스보드를 먼저 할 생각이다. 모두 같은 하얀색으로 칠하는 거라 그렇게 어렵진 않을 것 같다.

나머지 벽은 싱크대 쪽의 백스플래쉬 타일을 설치 후에 페인트를 할 계획이라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다. 

 

This is how I finished the drywall patching and priming.

The next step is caulking for all the seams and painting. I will paint the white parts which are the window frame, door frame, bead board, molding, and baseboard first.

The wall should be painted after I install the backsplash tile, so it might take some time to finish.

반응형